플루트의 역사 ( 플루트 인가? 플룻인가? )
본문 바로가기
플루트정보

플루트의 역사 ( 플루트 인가? 플룻인가? )

by 비제티비 2018. 12. 16.
728x90
반응형

플루트의 역사 ( 플루트 인가? 플룻인가? )

 

플루트 = Flute

플루트라고 부르는것이 한국에서는 맞는듯 해요. ^^

 


플루트'라는 명칭은 몸의 양쪽 옆에 7개씩의 아가미 구멍을 가진 작은 물고기 'Lamprey(칠성사자)’를 가리키는 라틴어 'Fiaute'에서 기원했다. 이 구멍들의 수(14개)는 플루트 전면의 지공의 수와 일치한다. 또 독일어로 가로 피리라는 뜻의 ‘Querfloete’란 말에서 생략된 것이라고 한다

언제부터 이 악기가 있었는 지는 확실히 모르지만 고대 이집트의 발굴물 속에 플투트와 비슷한 것이 있었으며 고대 그리스에도 비슷한 악기가 있었다니 아주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수 차례 변형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의 모습과 흡사한 취구를 가진 상아로 만든 플루트가 발명된 것은 1867년이다.

플루트는 원래 세로형과 가로형의 두 종류가 있었는데 세로형 틀루트가 더 오래전부터 존재하였다고 추측하지만 선사시대 지층에서 발견된 표본에서는 입을 대는 부분이 유실되어 단정지을 순 없다. 중국의 시경에는 기원초에 가로형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인도에서도 1세기경에 가로형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동양에서 서양으로 플루트가 전해지는 과정에서 동서양 문화권과 문화적 교류가 전혀 있지 않았던 미개 사회에서도 가로형이 발견되었다. 그 만큼 플루트는 우리가 접하기 쉬운 악기 같다.

고대 그리스는 플루트의 제조, 연주 기술이 발달된 최초의 나라였다. 여기서 점차 플루트 음악이 러시아, 독일, 스페인, 프랑스 등으로 확산되었고, 13세기경 트루바두르와 함께 유행했다.가로 피리를 현재와 같이 옆으로 들고 연주할 수 있도록 합주에 처음 사용한 사람은 뢸리였다. 뢸리 이후 플루트 음악이 크게 발달하였다.

양치기의 유일한 악기인 '팬파이프' 역시 플루트 파이프의 원형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것은 줄로 함께 엮은여러 개의 갈대로 이루어졌는데 히브리, 그리스, 로마인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그후에는 명확한 길이와 지공을 가진 목제 악기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 뒤 운지 키들을 추가, 반음의 발음을 용이하게 하는 유용한 방법이 고안되었다. 팬플루트의 쇠퇴 후에 등장한 플루트는 바로크 시대까지도 세로 피리(리코더)와 가로 피리를 다 지칭했으나 주로 세로 피리를 지칭했다. 특히 가로피리를 가리킬 때는 플라우토 트라베르소(옆으로 부는 플루트)라는 말을 사용했다. 세로 피리는 부는 구멍이 새의 부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피리는 십자군전쟁에 의해 중동에서 유럽으로 전해졌는데 이 악기는 당시 미네징거들이 즐겨 사용했다.

중세와 르네상스·바로크시대 초기만 해도 플루트는 군악대 등에서 많이 쓰였으며, 예술음악에서는 리코더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17∼18세기의 플루트는 리코더를 의미하고 가로로 부는 플루트는 가로 플루트 또는 독일 플루트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가로로 부는 플루트가 관현악에 쓰이고 리코더를 대신하여 오늘날의 위치를 갖게 된 것은 19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 시기가 되어야 플루트의 시대가 열리게 되는데, 그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악기의 성능과 기능을 높이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람이 금세공의 아들인 뵘으로 그는 원추형의 몸체를 원통형으로 하고, 구멍의 크기를 넓혀 음향학적으로 플루트를 합리화하고 규칙적인 반음을 얻을 수 있도록 개량했다. 여기에 운지법도 편하게 하였는데 공에 링을 붙여 지공을 누르면 동시에 링도 누르고 링에서 연결된 긴 축으로 하여금 손가락으로 미치지 못하는 위치의 음공도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재질을 목재에서 금속제로 바꾼 사람도 뵘으로 알려져 있다. 그후 이 악기는 코슈와 부페에 의하여 다시 개량되어 더욱 좋은 음질과 연주에 편리한 오늘날의 플루트가 탄생한 것이다.

 

반응형

댓글